안녕하세요! 오일상입니다!
최근에 전입신고를 해야해서 신고방법에 대해서 찾아봤는데요! 온라인 전입신고를 통해 집에서도 쉽게 신고가 가능하더라구요!
전입신고란?
부동산 계약을 하거나 거주지를 옮길 때 새로 입주하는 곳을 알리는 신고를 말합니다!
전입신고는 이사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해당 거주지의 지자체에 신고를 해야합니다.
만약 해당 기간안에 신고를 하지 않으면 5만원의 과태료를 물어야합니다!
그리고 부동산에 문제가 생겼을 때 전입신고를 안한 상태라면 법적 보호를 받기가 어렵습니다!
전입신고, 그리고 대항력
대항력이란?
이미 유효하게 성립한 권리관계를 제3자가 부인하는 경우에 그 부인을 물리칠 수 없는 법률상의 권능을 대항력이라고 한다. 즉 일단 성립한 권리관계를 타인에게 주장할 수 있는 힘이다.
- 네이버 법률용어사전
만약 계약한 집이 경매로 넘어가게되면 새로운 소유주가 생겨나게 됩니다! 하지만 기존에 월세 보증금이나 전세금은 기존의 집주인이 가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새로운 소유자가 보증금을 대신 값아줘야하는 것이죠!
이러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전입신고를 통해 대항력을 얻을 수 있고 우리의 소중한 돈도 지킬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세나 월세 계약을 하게되면 세입자로서 반드시 전입신고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입신고기간
전입신고는 이사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해당 거주지의 지자체에 신고를 해야합니다.
만약 해당 기간안에 신고를 하지 않으면 5만원의 과태료를 물어야합니다!
필요서류
전입신고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가지 방법이 존재하며, 두 방법에 필요한 서류가 다릅니다!
1) 오프라인
- 전입 신고서
- 임대차 계약서 원본
- 세대주 민증 및 도장
- 세입자 주민등록증 및 도장
- 신분증
오프라인으로 전입신고를 할 경우에는 지자체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접수하시면 되는데요! 전입 신고서 또한 이곳에 비치되어있습니다
오프라인으로 접수를 하실 경우에는 필요한 서류가 꽤 있으며, 직접 방문하셔야하는 번거로움도 있습니다!
하지만 온라인으로 접수하시면 훨씬 간단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2) 온라인
온라인 전입신고는 정부 24를 통해 신고할 수 있으며 공인인증서만 있다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온라인으로 전입신고하는 방법
이제 온라인으로 전입신고를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정부24 검색
검색창에 정부24를 검색합니다.
2. 로그인
정부24 홈페이지에 들어오면 우측에 로그인하는 곳이 있습니다! 아이디찾기, 비밀번호, 회원가입 등이 쓰여있지만 회원가입 없이도 진행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페이지에 들어오면 인증서 로그인창이 뜹니다! 굳이 번거로운 회원가입 없이도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을 통해 쉽게 로그인하실 수 있습니다!
간편인증과 공동 금융 인증서 두가지 방법이 보이는데요! 카카오톡을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간편인증으로 진행하시면 훨씬 수월하게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3. 전입신고 검색
로그인을 하셨다면 바로 옆에 보이는 검색창에 '전입신고'를 검색하시면 전입신고 페이지로 바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4. 전입신고 유의사항 확인
전입신고 페이지로 들어오면 '온라인 전입신고 유의사항'을 먼저 확인하셔야 합니다!
온라인 전입신고는 반드시 이사하는 본인이 신청해야 하며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전입신고는 전입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진행해야 하며, 만약 정당한 사우없이 신고하지 않으면 5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근무시간 이후나 토요일, 공휴일에 신청하는 경우는 신고가 수리 또는 반려될 수 있다고 하네요!
5. 전입신고
이제 전입신고를 진행하면 되는데요! 전입신고는 총 3단계로 나눠져있으며 단계에 필요한 정보들을 기재해주시면 됩니다!
1단계) 신청인정보
신청인의 이름과 연락처를 적어주면 됩니다.
전입하는 사유를 선택하고 다음단계로 넘어가면 1단계는 끝입니다.
2단계) 이사 전에 살던 곳
이사 전에 살던 곳의 주소를 조회해주시면 됩니다!
3단계) 이사온 곳

마지막으로 해당사항을 체크하고 민원신청하기를 누르시면 온라인 전입신고가 끝납니다!
전입신고하면 복잡하고 어려울 것 같지만 이렇게 온라인으로 진행하면 정말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점이 너무 좋은 것 같네요!
온라인 전입신고에 대한 설명은 여기까지입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신발 사이즈표 총정리! / UK US EU CN 사이즈 / 남자 여자 신발 사이즈 (28) | 2023.06.05 |
---|---|
신세계 상품권을 현금으로 출금하는 방법! - 쓱페이(SSG PAY) (2) | 2023.05.24 |
요즘 대세인 ChatGPT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 (1) | 2023.05.10 |
발렌타인데이&화이트데이의 유래를 알아보자! (0) | 2023.02.16 |
갑작스러운 가스비 인상과 가스비 절약방법 (0) | 2023.01.29 |
댓글